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) WEB = World Wide Wed = WWW
- W3C: 웹 표준단체, 웹에 관련된 모든 것을 관리하는 단체, 비영리단체
- Markup 언어: 태그로 구성된 언어. (예) SGML (데이터를 구조화, 표현할 수 있음)
- SGML(사용이 어려움) 에서 부터 파생된 하위 언어들 (subset) - XML, HTML
- XML: 데이터 구조화
- HTML: 데이터 표현
- (WBC에서 채택하고 있는) 웹의 기본 표준 프로토콜 : HTTP (기본포트: 80)
(프로토콜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규칙과 규약의 모음입니다.)
- (WBC에서 채택하고 있는) 웹의 기본 표준 언어 : HTML
* HTTP와 HTTPS 차이점 공부하기!
: WEB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?
(CS프로그램의 단점때문에 WEB프로그램 사용늘어남)
Client (클라이언트 프로그램) Server (서버프로그램)
(예시) 카카오톡
카카오톡 애플리케이션 서버프로그램
: cs프로그램 특징
[단점]
- 개발량이 많다. 클라이언트, 서버 프로그램을 둘 다 많들어야 되기 때문에
- 버전이 업이 될수록 기능이 늘어날 수 밖에 없다. (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기능이 늘어남 > 서버 프로그램의 기능도 추가해야 됨) > 유지, 보수하기가 어려움
- 컴퓨터의 성능(사양)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속도가 다름 >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좋아야만 애플리케이션이 정상 실행된다. / FAT Client가 된다.
FAT (Full-Featured, All-Tasks)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자체적으로 모든 작업을 처리하는 무겁고 기능이 풍부한 클라이언트입니다.
[장점]
- 웹 프로그램에 비해 보완상 안전하다
- 웹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르다.
>> CS프로그램 사용 : 금융사 (예: 창구직원 WEB사용 X, CS프로그램사용 > 창구 직원은 일반 사람들보다 회사 내 사용중인 cs프로그램의 프로토콜에 익숙함 )
cs프로그램과 web 프로그램 (그림)
컴퓨터의 성능에 상관없이 엔진만 이용하면 웹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음
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실행 가능하기 때문에 웹프로그램의 사용이 늘어남 (예시: 로봇청소기, 스마트TV)
> 디바이스의 형태가 다양해짐
N.screen은 네트워크 화상 회의 및 협업 솔루션으로, 다수의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화상 통화 및 화면 공유를 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.
동적 프로그램과 정적 프로그램
정적 프로그램(예 HTML) 어제/오늘 자료 or A와 B가 요청 > 자료 똑같음
동적 프로그램(예 Servle)t 어제/오늘 자료 요청 and A와 B가 요청 > 자료 다름
2) XML (eXtensible Markup Language)
: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
왼쪽에 있는 데이터를 어떻게 구조화 할 것인지 포커스에 맞추는 것 (태그를 사용해서)
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
1) 구조화하기
2) 구조화된 데이터 처리하기
구조화하기
구조화된 데이터 처리하기
3) HTML
데이터 표현 방법
(예시) 송파는 노란색으로
경기는 파랑색으로 하고 표로 표현하기
HTML history
> HTML5를 공부해야한다! (구체적인 부분 - 아래 그림 참고)
4) html
문서 유형은 html이다.
<!-- <html>
<head></head>
<body></body>
</html> -->
주석달기 ctrl + /
head body - 주석처리 (초록색 코드: 내가 만든 코드)
(보라색 코드 )엔진이 코드를 만들어줌
* 집에서 할 일
리눅스 다운
폴더 만들기 myFrontWEB
auto rename tag, live preview, live Server 검색해서 다운받기
헤드태그에는 정보를 담아두고
바디태그에는 화면에 보일 걸 담아둔다
아래 UTF-8은 문서 파일을 UTF-8로 인코딩 한다는 뜻/ 위의 코드 UTF-8은 웹브라우저의 결과를 엔진에서 보여줄때 인코딩을 UTF-8로 하겠다는 의미
자동정렬
thead tfoot
> 테이블 찾을때 알아보기 쉽게 하려고 만든거임 (데이터를 구조화 하기 위해 만들어진 태그, 결과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. 대표 시멘트 태그)
<!DOCTYPE html>
<!-- html 5버전 --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HTML기본문법</title>
<!-- 웹브라우저 창 이름 -->
</head>
<body>
<!-- 글자크기조정 -->
<!-- p태그 내부에는 h태그, ol, ul태그를 줄 수 없다! -->
<h1 style="border:1px solid; width:600px; height: 100px; margin: 10px 20px 30px 40px ; padding:100px 10px">제목1 사용자의 눈이 불편한 페이지</h1>
<h3>제목3</h3>
<h6>제목6</h6>
<p style="width: 300px; border:1px solid; background-color:greenyellow;">
눈이 아픈 색깔
</p>
<!-- 목록태그 ol 1.2.3 / ul *** -->
<ol style="color:cyan;border: 1px solid; list-style-type: none;">
<li>JAVA</li>
<li>SQL</li>
<li>HTML</li>
</ol>
<ul style="color: aquamarine; border: 2px solid; list-style-type: square;">
<li>JAVA</li>
<li>SQL</li>
<li>HTML</li>
</ul>
<p style="width: 400px; border: 1px dotted; background-color: lawngreen;">
눈이 아픈 색깔 ver2
</p>
<!-- 표 / tr:행 td:열-->
<!-- tbody생략하면 엔진에 의해 자동만들어진다 -->
<!-- th: 각 셀의 제목 -->
<table style="border: 2px solid; border-collapse:collapse; width:280px; height:150px;">
<thead>
<tr>
<th style="border: 1px solid;">오른쪽이아닌왼쪽</th>
<th style="border: 1px solid;">왼쪽이아닌오른쪽</th>
</tr>
</thead>
<tbody>
<tr>
<td style="border: 2px solid; width: 100px; height: 100px;">A</td>
<td style="border: 2px solid;">B</td>
</tr>
</tbody>
<tfoot>
<tr>
<td style="border: 10px solid;">foot1</td>
<td style="border: 10px solid;">foot2</td>
</tr>
</tfoot>
</table>
<p style="border: 5px; background-color: mediumspringgreen;">
<!-- 이미지태그는 닫는태그 따로 없다
src: 화면에 보여줄 이미지에 대한 리소스를 정확히 경로로 입력
alt: 이미지에 대한 설명 -->
<img src="D:\263\myFrontWEB\images\a.jpg"
alt="엘리멘탈"
style="width:300px; margin: 10px; color: palegreen;">
<img src="D:\263\myFrontWEB\images\a.jpg" alt="엘리멘탈" style="height:300px">
<img src="..\images\a.jpg" alt="엘리멘탈 상대경로" width="300px">
<img src="../xx.jpg" alt="없는이미지">
<!-- 없는 이미지 -->
</p>
<p>
html요소는 block요소와 inline요소로 나뉜다
block요소는 1줄을 모두 사용하는 구조(크기지정가능, 상하마진가능)
inline요소는 1줄에 다음요소와 이어지는 구조(크기지정불가, 상하마진불가)
inline-block요소는 1줄에 다음요소와 이어지는 구조
<hr>
block요소의 종류로는 h1~h6, p, ul, ol, li, table, tr, div
lnline요소의 종류로는 th, td, span, br
inline-block요소의 종류로는 img, th/td(마진영역이 없음)
<div style="margin:10px">DIV</div>
<div style="border:3px solid; width:100px; margin:20px">DIV2</div>
<span style="border:3px solid; width:100px; margin:30px">SPAN1</span>
<span style="margin: 40px;">SPAN2</span>
<div>DIV3</div>
<span>SPAN3</span>
</p>
</body>"
</html>